안녕하세요.
이번에는 오래간만에 정책대출에 대해서 소개를 해보려 합니다.
정책대출의 기준은 참 많이 바뀌는 거 같아요.
저번에 제가 한번 소개를 해 드렸죠?
디딤돌 대출의 대출금리 조정.
혹시나 보지 못하신 분들은 이 글을 클릭 부탁드립니다.
실제로 3월 24일 이후로 제 주변에는 디딤돌 대출 금리가 많이 올라가서
집을 사는 것을 포기하였습니다.
일반 시중은행과 별 차이가 없다면서 분통을 터트렸는데요.
그런데 신기하게도 언론에서는 조용하더라고요.
저도 관심이 있어서 검색을 해봤는데,
수도권 0.2% 인상 외에는 아무런 이야기가 없더라고요.
사실 0.2% 보다는 가산금리 신설과 우대금리 적용 기한이 엄청나게 큰데도 말입니다.
(아무래도 크게 관심이 없나 봅니다. ㅠㅠ)
어쨌든! 다시 주제로 돌아와서,
금년도 4월부터 보금자리론에 변화가 생겼잖아요.
아마도 경우에 따라서는 보금자리론이 더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.
무엇이 바뀌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?
1. 중도상환수수료율이 인하가 되었습니다.
기존에는 중도상환수수료가 0.7% 였는데, 0.2% 인하가 되면서 0.5%가 되었는데요.
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여유가 있는 사람들 또는 투자 대박을 내신 분 이외에는 별로 큰 효과가 없다고 봅니다...
물론 나중에 나중에 시중 은행 대출 금리가 크게 인하된다면,
이 정책이 효과가 있을 수도 있는데,
과연 그렇다면 그때까지 중도상환수수료가 유지될까요?^^
이것 또한 앞으로 지켜볼 포인트인 거 같습니다.
2. 자녀수에 따라 소득요건 우대가 강화되었습니다.
그림으로 볼까요?
참고로 해당 자료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
예전에는 디딤돌 대출과 소득요건에서 크게 차이가 없었는데요.
이제는 자녀가 1명이라도 있다면 소득요건이 크게 올라가게 됩니다.
이 정책은 유의미한 변화라 볼 수 있습니다
3. 신혼 및 2자녀 가구에 대한 금리우대가 강화되었습니다.
사실 여기에서 큰 변화가 있어서 제가 글을 쓰게 되었는데요.
다자녀가구에서 2자녀 혜택이 신설되었습니다.
무려 0.5% 혜택이 주어집니다.
그래서 2자녀이신 분들은 디딤돌보다는 보금자리론이 더 좋을 수도 있는데요.
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1자녀가 없다는 것입니다.
저출생 해소에 과연 도움에 될지는 미지수입니다.
4. 보전용도가 확대되었습니다.
위에도 기재되어 있지만 2020년 3월부터 중지된 것이 다시 풀렸는데요.
그만큼 보금자리론이 인기가 없었다는 반증을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.
하지만 바뀐 정책으로 인해 다시 인기가 좋아지겠죠?
이번에는 보금자리론에 대해서 한번 알아봤는데요.
다른 대출들도 얼른 인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물론 무주택자 분들을 위해서만요.

혹시나 잘 못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시기 바랍니다.
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.
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.^^
'돈과 관련된 정보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정보] 임상시험 실패하면 어떻게 될까? (16) | 2025.05.04 |
---|---|
[주식정보] 한화오션 주가 전망은? (8) | 2025.05.03 |
[주식정보] 에코프로비엠 주가 전망은? (5) | 2025.04.10 |
네이처셀 주가 전망은? (10) | 2025.04.03 |
주식용어 3편(증자와 사채 등) (8) | 2025.04.02 |